한국인들의 행복지수가 낮은 데는 사회구조적 요인을 무시할 수 없다. 고속 경제성장 과정에서 부가 일부 계층에 쏠리면서 빈부 격차와 양극화는 심해졌다. 임금근로자 3명 중 1명이 비정규직일 정도로 고용시장은 불안정하다. 청년실업, 조퇴와 명퇴, 노인빈곤 문제도 심각하다.
경제학자 우석훈 박사(45)는 "한국경제의 특징은 다이내믹, 즉 빠른 변화이지만 이는 곧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얘기"라며 "숨 돌릴 틈도 없이 변화가 이어지면서 국민들이 느끼는 스트레스와 압박감, 불안감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우 박사는 "당장 몇 년 후도 예측할 수 없고, 사회안정망도 완비되지 않은 나라에서 갖는 불안감은 중산층도 예외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열심히 일하면 경제적으로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퇴색해진 것도 같은 맥락이다. 기업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멘탈 피트니스'를 여는 인제대 우종민 교수는 "인력에 대한 수요가 많고 성장이 가팔랐던 고속성장 시대에는 누구나 노력하면 삶이 좋아질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지만 지금과 같은 저성장 시대에는 그런 보장이 없다"면서 "고용시장 자체도 불안정할뿐더러 이미 양극화가 너무 심해진 상태라 만족스러운 삶을 꿈 꾸기 힘들다"고 말했다. 우 교수는 "그 결과가 근로자들의 누적된 피로와 우울감, 자살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가 제안한 국민총행복(GNH) 지수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영철 KDI 연구위원은 "스티글리츠는 국내총생산(GDP), 실질국민총소득(GNI) 등 기존 경제지표만으로는 국민들의 삶의 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을 간파하고 사회통합, 환경, 보건이나 안전, 여가 등 국민행복과 연관되는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GNH 지수로의 대체를 주장한 것"이라며 "이런 세계 흐름과 발맞춰 한국정부도 국민총행복을 높일 수 있는 다각도의 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박주연 기자 jypark@kyunghyang.com>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부는 궁지에 몰리면 거짓말을 하나, 피해자는 진실을 말한다" (0) | 2013.03.05 |
---|---|
블로그 방문자 통계 (0) | 2013.02.20 |
하루 지나서 뜨는 교구 인사발령 명단 (0) | 2013.02.08 |
사오십대 메일 댓글 (0) | 2013.02.07 |
12년 동안 성범죄 피해 입은 소년, 결국 정신병원으로 (0) | 201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