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있는 이야기

[스크랩] 욕망과 행동 사이에 ‘생각’을 삽입하라<복음과 상황> 6월호, 교회의 반지성주의 비판 -- 한상봉 기자

긴 긴 시간 2013. 6. 2. 01:18

 

욕망과 행동 사이에 ‘생각’을 삽입하라<복음과 상황> 6월호, 교회의 반지성주의 비판

한상봉 기자

 

 

승인 2013.05.29  

   
▲ <복음과 상황>, 2013년 6월호
‘생각 없이 믿는 자, 유죄’. <복음과 상황> 6월호에 구미정 교수(숭실대)가 기고한 글의 제목이다. <복음과 상황>은 6월호에서 ‘교회의 반지성에 반(反)하다’라는 특집을 마련해, 개신교 근본주의의 폐해와 번영신학, 그리고 반지성주의에 대한 비판의 날을 세웠다.

구미정 교수는 “욕망과 행위 사이에 ‘생각’이라는 지적 활동을 전혀 작동시키지 않는 ‘일차원적 인간’을 무슨 수로 일깨워 ‘생각’하게끔 만들 것인가” 물으며, 신자들이 자기 욕망의 뿌리를 들여다보고, 그것이 외부에서 주입된 욕망이라는 것, 나아가 궁극적으로 헛된 것임을 알아차릴 수 있는 내공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또 ‘종교’라는 고결한 단어마저도 ‘상품’으로 둔갑한 교회 현실을 바라보며, “우리 자식들 세대만 보더라도, 부모가 다니는 교회에 충성할 의무를 더 이상 느끼지 않으며, 소비자본주의 시대에 태어나, 일찍이 ‘소비자’라는 정체성에 길든 아이들에게 교회는 단지 마음에 드는 상품을 골라잡듯이, 종교도 그런 선택지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런 신자들은 “무한경쟁과 적자생존의 법칙으로 점철된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얼마나 고달픈데, 교회에서까지 꼭 ‘골치 아픈’ 설교를 들어야 하느냐”고 반문하기 때문에, 한국 교회의 설교는 말랑말랑한 위로의 메시지로 도배되고, 교회의 경쟁력은 ‘엔터테인먼트’에 있음을 알아차린 성직자들은 ‘종교 소비자’들의 욕구를 기가 막히게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을 발전시킨다고 꼬집었다.

한편 <예수를 교회로부터 구출하라>는 책을 쓴 로빈 마이어스가 우리 시대의 강력한 이단으로 ‘번영신학’을 꼽았음을 상기시켰다. 번영신학은 개신교의 대형교회와 오순절교회, 심지어 아프리카 · 아시아 대륙 전체에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고 하는데, 한국 가톨릭교회에서도 차동엽 신부가 개인적으로는 ‘무지개 원리’를 펼치고, <성공적인 교회들에는 비밀이 있다>(에우안겔리온, 2005)는 책에서 교회성장론을 펼치는 것과 궤적을 같이한다.

번영신학은 과거에 죄로 간주되었던 탐욕을 하느님의 선택과 축복의 징조로 탈바꿈시킨다. 이들은 복음의 존재 이유가 마치 개인의 성공에 있는 양 호도하며, 설교 문법에서 ‘구원’이라는 용어를 대체로 ‘성공’과 등가물로 다룬다. 여기서는 예수가 재물의 위험성과 반신성(反神性)에 대해 경고한 구절이 그들의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이를 두고 구미정 교수는 “그들에게 하느님은 부자가 되고 싶은 개인의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우주적인 심부름꾼’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기업이 국가 위에 군림하는 시대, 그 이름이 무색하게 대학마저도 기업의 하청업체로 전락한 시대, 정규직을 얻는 것이 ‘가문의 영광’이요 ‘영생의 기쁨’으로 환치되는 시대, 요람에서 무덤까지 모든 인간이 줄기차게 ‘자기개발’에 복무하도록 몰아가는 이 시대에는 바야흐로 맘몬(Mammon)이 중력의 법칙을 지배한다. 예수가 약속한 ‘풍성한 생명’(요한 10,10)이 아무렇지 않게 ‘풍부한 재물’로 읽히는 건 우리의 욕망이 중력의 법칙 아래 종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구미정 교수는 “부자들을 증오하면서도 실상은 부자가 되고 싶은 욕망으로 돌돌 뭉친 우리 자신”을 바라보며, 보수 개신교와 우파 정치, 그리고 자본주의 사이의 결속관계는 영화 <매트릭스>를 연상케 할 정도로 물샐 틈 없이 촘촘하게 현실세계를 구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개신교 출판사들은 미국산 번영신학을 수입해 한국 교회에 이식해 왔는데, 이들이 전파하는 복음은 예수를 믿기만 하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의 믿음은 단순히 나도 성공할 수 있다는 자기최면 이외에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전하는 구 교수는 ‘믿음이 좋으면 만사형통’이라는 식의 인습적인 관념을 성경이 얼마나 일관되게 뒤집고 있는지 전하며 “성경이 얼마나 사회정의에 민감하며, 성경의 인간관은 어디까지나 탈사회적 개인이 아닌 ‘공동체적 인간’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오히려 출애굽의 하느님은 줄곧 억눌리고 소외된 힘없는 약자들의 하느님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구미정 교수는 “교회 주차장에 파킹하면서 뇌까지 파킹하지 마라”고 말했던 신학자 존 캅(John Cobb, Jr)의 권면을 인용하며, “모든 신자들은 자기 신앙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측면에서 ‘신학자’가 될 것을 요청한다”는 캅의 말을 덧붙였다. 또한, 벳자타 연못에서 38년간 병자였던 이에게 예수께서 “일어나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거라”(요한 5,8) 하고 명령했듯이, 평신도들도 신학을 신학자들에게 위임하지 말고 스스로 생각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구 교수는 중력의 법칙에서 벗어나려면, 먼저 욕망에 휘둘리지 말고 중심을 잡을 것, 욕망과 행동 사이에 ‘생각’을 삽입할 것, 그 생각은 그냥 ‘떠오르는’ 생각이 아니라 ‘하는’ 생각일 것, 의식적으로 자기 생각이 하느님의 뜻에 맞도록 매 순간 조율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다보면, 저절로 일어나는 생각이 조금도 하느님의 뜻에 어긋나지 않게 되고, 스승 예수처럼 “마침내 은총의 바다에서 자유로이 노니는 한 마리 물고기”가 되리라고 조언한다.

(<복음과 상황> 정기구독 안내 / 독자지원팀 02-744-3010, www.goscon.co.kr)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출처 : 생명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글쓴이 : 쌩떽쥐베리 원글보기
메모 :